커피 프림 성분
1. 프림의 주성분
1)식물성 유지
-야자나무의 열매에서 얻은 야자유(팜유)가 주로 사용되며 콜레스테롤이 거의 없으며(?) 맛이 고소하고 단백합니다.
2)우유
-우유에서 추출한 카제인 단백질을 사용하며 우유단백질중 가장 품질이 우수하고 소화가 잘되어
분유및 이유식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
3)전당분
-옥수수 가루를 효소처리하여 제조한 것 으로 단맛을 내고 혼합을 도와 줍니다.
2. 프림의 열량
1) 프림의 열량
-시중에 판매 되는 보통의 프림 제품의 열량은 1g당 약 6칼로리 정도 이며,
이는 한잔 5g 정도사용을 기준으로 할 때 커피 한잔에 들어 있는 프림의 열량은 30 칼로리 정도로 본다
2) 열량 비교
-포도 한송이 140kal,멜론 한개 300kal,바나나 한개 100kal,콩밥 254kcal,
백미 300kcal등과 비교해 볼때 그리 높은 열량은 아닌 것 으로 판단 되어 집니다.
3. 팜유란?
1) 원재료에 포함된 포화지방산
-프림의 원료인 팜유는 오일 팜이라는 열매에서 나오는 기름인데요,
이게 출신성분은 "식물성"이지만 내용을 분석해보면 우지나 돈지와 비교해도 손색이 없을만큼 포화지방산이 많습니다.
프림은 포화지방산으로서 혈중 콜레스테롤을 높이는 주범이 되므로 성인병을 예방할 때 가장 먼저 제한해야 합니다.
2) 관련 속설
-우스개 소리로 커피한잔속에 프림을 다 연소 시키려면 지구 한바퀴인지 몇바퀴인지? 그런말도 있었어요.
4. 트랜스지방 vs 포화지방
1) 트랜스 지방의 피해
-콜레스테롤과 관련한 트랜스지방의 악영향은 포화지방의 2배에 이른다고 합니다..
트랜스지방이 피 속의 나쁜 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혈관을 깨끗이 청소하는
좋은 콜레스테롤을 감소시켜 혈관을 굳게 하고 좁게 만들기 때문이죠.
-현대문명이 만들어낸 트랜스지방산은 일단 한번 먹으면 몸밖으로 배출이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.
교묘하게 위장한 트랜스지방산을 우리 몸이 잘 구별해 내지 못하기 때문이죠.
2) 자연 상태의 지방산의 비교
-자연 형태의 지방산은 굽은 편자 모양으로 외부의 침입자를 선택적으로 투과하도록 생겼지만
트랜스지방산은 곧은 막대기 모양을 하고 있어서 멀쩡한 영양분은 슬슬 흘려버립니다.
-게다가 바이러스 같은 엉뚱한 병원균은 쉽게 받아들이죠. 이같은 현상은 세포의 자동조절력을
잃어버리게 하고 곧바로 ‘면역력 저하’로 이어지게 합니다.
'People i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경로 의존 법칙 (0) | 2010.11.16 |
---|---|
가사 : 언제나 ~ 허각 (0) | 2010.11.12 |
와이브로 wibro (0) | 2010.10.11 |
제작 엔터테인먼트 (0) | 2010.10.11 |
3G망과 WiFi(와이파이), 와이브로 비교 (0) | 2010.10.07 |